131

YUHSpace: Home · 2020. 6. 29. · - v - 국문요약 농촌거주 노인의 우울예측모형 구축 본 연구는 Q VWC©1/ u:H(+ uX /4 M:+ , 3/4-( YH(+ïAtÔvz 8 Z [\' YA8 ]Z

  • Upload
    others

  • View
    6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농촌거주 노인의 우울예측모형 구축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 호 학 과

    김 성 은

  • 농촌거주 노인의 우울예측모형 구축

    지도교수 김 선 아

    이 논문을 박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2년 1월 일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 호 학 과

    김 성 은

  • 김성은의 박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년 1월 일

  • 감사의 글

    끝나지 않을 것만 같던 기나긴 터널을 지나 온 듯합니다. 호기로운 생각으로 시작

    한 연구는 진행될수록 마치 안개가 꽉 찬 미로 속을 헤매는 듯 하여 주저앉고 싶은

    순간들의 연속이었습니다. 논문을 쓰는 과정은 저에게 겸손을 배우는 시간이었습니다.

    간호사는 나의 길이 아니라고 생각한 적도 있었습니다. 처음 시작은 이렇게 오랜

    기간, 그리고 더 이상을 발을 뺄 수 없을 정도로 깊게 간호학에 몸을 담게 될 줄은

    몰랐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간호사가 저의 길임을 확신합니다. 그 간호사의 길로 들어

    서서 배움을 계속한 것이 이렇게나마 작은 결실을 맺게 되었습니다.

    논문이 완성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자 합니

    다. 먼저 학위과정동안 주저앉으려할 때마다 저에게 용기를 주시고 끝을 낼 수 있도

    록 처음부터 끝까지 이끌어주신 김선아 교수님, 제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노인간호

    분야로의 접근을 안내해주시고 도전하게 해 주셨던 이주희 교수님, 통계학적인 난관

    에 닥칠 때마다 명쾌한 대답을 주시고 함께 고민해 주셨던 최모나 교수님, 정신간호

    학자로서의 중심을 잡아주시며 따뜻하게 조언해 주셨던 공성숙 교수님, 먼 거리에도

    세심한 지도를 아끼지 않아주셨던 남경아 교수님 모두 감사합니다. 학교에 자주 들르

    지 못해 자주 뵙지 못하는 데도 늘 따뜻한 관심과 격려를 아끼지 않으셨던 강릉의 권

    미경 교수님, 김혜원 교수님 외 여러 간호학과 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보이지 않게 후원해 주시고 지지해 주신 이희종 전 학장님, 편군자 이사장

    님, 김경천 총장님, 이은직 부총장님을 비롯한 김천과학대학교 여러 교수님들께도 감

    사드립니다. 특히 바쁜 가운데도 많은 배려를 베풀어주신 간호학과의 김경혜 학과장

    님, 김태양, 정경옥, 김영숙, 신석기, 정경순, 최영아, 안성윤, 주영희, 전소자, 임선영,

    원효진, 이윤경, 성가연 교수님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늦은 밤까지 연구실의 불

    을 함께 밝히며 저녁식사 동무가 되어주셨던 최혜선 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논문의 전 과정에 대한 관심과 응원을 보내준 함께 공부했던 박수호, 송소현 선생

    님을 비롯한 원우들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더불어 학위과정 내내 격려해주며 긴장에서

  • 헤어날 수 있게 웃음과 휴식을 준 친구 김수래, 후배 정유리, 물심양면으로 지원을 아

    끼지 않았던 후배 김효정에게도 고마움을 전합니다.

    무엇보다 논문의 진행과정 내내 연구자인 저보다도 더 마음 졸이고 걱정하시면서

    도 방해가 될까봐 전화도 잘 못하셨던 부모님께 한없는 감사를 드립니다. 사실 이

    논문은 온전히 부모님의 사랑 덕분이어서 감사의 글을 부모님으로 채워도 마음은

    모자랄 듯 합니다. 그리고 무관심한 듯 하지만 때때마다 잊지 않고 먼저 챙기며 용

    기와 웃음을 준 하나 밖에 없는 동생 성욱이에게도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이제 많이 부족하기 그지없는 제가 박사과정을 무사히 마치고 간호학자로서 첫 발

    을 내딛기 시작합니다. 항상 지금 이 시작의 순간을 기억하며 겸손하면서도 성실한

    자세로 정신건강에 대한 학문적 정진을 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간호학을 공부하는 손녀를 한없이 자랑스러워하시며 누구보다도 기뻐하

    실 돌아가신 할아버지와 외할머니께 깊은 사랑과 감사를 담아 이 논문을 바칩니다.

  • - i -

    차 례

    감사의 글

    표 차례 ··········································································································································ⅲ

    그림 차례 ······································································································································ⅳ

    국문요약 ········································································································································ⅴ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7

    Ⅲ. 연구의 개념적 기틀 ······································································································19

    Ⅳ. 연구방법 ·····························································································································27

    A. 연구설계 ··························································································································27

    B. 연구대상 ··························································································································27

    C. 측정도구 ··························································································································28

    D.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37

    E. 자료분석방법 ··················································································································38

    F. 윤리적 고려 ·····················································································································39

  • - ii -

    Ⅴ. 연구결과 ·····························································································································40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우울요인관련 특성 ··························································40

    B. 대상자의 우울 ················································································································45

    C. 대상자의 요인별 우울 차이 ························································································46

    D. 대상자의 우울예측요인 ································································································53

    E. 대상자의 우울예측모형 ································································································57

    F. 대상자의 우울예측모형에 대한 평가 ·········································································64

    Ⅵ. 논의 ·······································································································································68

    A.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68

    B. 연구방법에 대한 논의 ··································································································76

    C. 연구의 의의 ····················································································································78

    D. 연구의 제한점 ················································································································79

    Ⅶ. 결론 및 제언 ····················································································································80

    A. 결론 ··································································································································80

    B. 제언 ··································································································································83

    참고문헌 ········································································································································84

    부록 ················································································································································95

    Abstract ·······································································································································118

  • - iii -

    표 차 례

    우울증에 관한 축약형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에 의한 핵심지표 ···················23

    설문지의 내용 구성 ·····································································································28

    이동영 등(2002)이 개발한 인지기능(MMSE-KC)점수 기준표 ··························31

    운동능력의 문항 항목 및 신뢰도 ·············································································33

    친구나 이웃 간 지원교환 설문구성 ·········································································3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1

    신체심리기능 요인적 특성 ·························································································42

    만성질환의 종류별 빈도 ·····························································································43

    활동 및 참여 요인적 특성 ·························································································44

    대상자의 우울 ·············································································································45

    개인 요인에 따른 우울 차이 ···················································································46

    환경 요인에 따른 우울 차이 ···················································································47

    만성 질환 수에 따른 우울의 차이 ·········································································48

    만성 질환의 종류에 따른 우울의 차이 ·································································49

    인지기능과 자아존중감에 따른 우울의 차이 ·······················································50

    활동에 따른 우울의 차이 ·························································································51

    참여에 따른 우울의 차이 ·························································································52

    대상자의 우울예측요인 ·························································································56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사용된 변수 ·········································································57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정분류표 ···············································································64

    의사결정나무분석의 정분류표 ·················································································65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의사결정나무분석 간의 우울예측 변인의 비교 ···········66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의사결정나무 분석의 예측력 비교 분석 ·······················67

  • - iv -

    그 림 차 례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 모델의 개념도 ·····························································21

    우울에 관한 축약형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 모델 ·········································24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 ···························································································26

    우울예측모형의 제 1경로 ·······················································································58

    우울예측모형의 제 2경로 ·······················································································59

    우울예측모형의 제 3경로 ·······················································································60

    우울예측모형의 제 4경로 ·······················································································61

    의사결정나무분석에 의한 대상자의 우울예측모형 ···········································63

  • - v -

    국문요약

    농촌거주 노인의 우울예측모형 구축

    본 연구는 본 연구는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의 우울예측요인을 규명하고 최적

    의 예측모형을 구축하고 평가함으로써 우울예방과 감소를 위한 간호프로토콜 개

    발과 간호중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상북도와 강원도에 소재하는 30개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5월 1일부터 2011년 7월 30일까지

    였으며, 연구자와 연구보조원이 면접조사를 통해 수거된 총 500부 중 누락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된 39부를 제외한 총 461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종속변인인 농촌거주 노인의 우울은 한국어판 단축형 노인우울척도(조맹제,

    1999) 15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만성 질환

    수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통계청, 2010)의 분류구조를 바탕으로 노인들에게 흔

    히 발생하는 만성 질환 33가지를 제시하고 유병기간과 의사진단 여부를 물어 측

    정하였다. 인지기능은 이동영 등(2002)이 개발한 한국어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아존중감은 Rosenberg(1965)가 개발하고, 전병제(1974)가

    번안한 총 10문항, 4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운동능력과 자기돌봄능력은 이윤환 등

    (2002)이 지역사회 노인의 신체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신체기능 척도를 사

    용하여 측정하였다. 농사 참여는 지난 1주일간 1시간이라도 수입을 목적으로 일을

    했는지 여부를 묻는 현재 직업의 유무 1문항과 한국표준직업분류(2007, 통계청)에

    의한 직업의 유형 1문항의 총 2문항으로 측정하였고 사회활동참여는 친목단체모

    임의 참여 여부와 참여정도를 측정하는 2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친구나 이웃 간 지

    원교환의 척도는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를 참고로 구

    성된 8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와 SPSS Modeler 14.2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

  • - vi -

    여 실수와 백분율, 카이제곱검정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

    하여 농촌거주 노인의 우울예측요인을 파악하고 우울예측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연

    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인 농촌거주 노인의 우울정도는 0∼15점의 가능 범위에서 평균

    5.99점으로 전체적인 우울점수는 높지 않았으나, 8점 이상의 우울군이 169명

    (36.7%)로 노인에게 있어 우울은 흔하게 나타나는 건강문제임이 확인되었다.

    2. 농촌거주 노인의 우울은 연령, 교육수준, 경제상태, 만성 질환 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운동능력, 자기돌봄능력, 농사참여, 사회활동참여에서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났다. 특히, 만성 질환 수가 2개 이하인 대상자와 3개 이상의 대상

    자군 사이에서 우울이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고, 만성질환의 종류에서는 근

    골격계 질환, 악성신생물, 감각기계 질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농촌거주 노인의 우울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들은

    운동능력, 자아존중감, 경제상태, 사회활동참여, 인지기능, 농사참여, 성별로

    나타났다.

    4. 본 연구에서 최종 선택된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이용한 농촌거주 노인의 우울

    예측모형은 다음의 4개의 경로로 나타났다. 제 1경로는 운동능력이 35점 미

    만이고, 자아존중감이 20점 미만이며, 남성인 대상자이다. 제 2경로는 운동능

    력이 35점 미만이고, 자아존중감이 20점 미만이며, 여성인 대상자이다. 제 3

    경로는 운동능력이 35점 미만이고, 자아존중감이 20점 이상이며, 농사에 참여

    하지 않는 대상자이다. 제 4경로는 운동능력이 35점 이상이고, 자아존중감이

    20점 미만이며, 사회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인지기능이 저하된 대상자이다.

    5. 본 연구에서 구축된 모형의 정분류율은 78.59%이고 오분류율은 21.41%이었

    으며, 민감도는 53.33%, 특이도는 93.16%이었다.

  • - vii -

    결론적으로 농촌거주 노인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서 운동능력과 자기돌봄능력

    을 강화하여 활동과 참여를 높이는 접근방법이 유용하고, 본 연구에서 구축된 농

    촌거주 노인의 우울예측모형은 간호실무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상

    황생성이론수준의 이론개발을 유도하여 간호학문의 체계적인 지식체 구축과 농촌

    지역 거주 노인의 우울을 예방하는 프로토콜 개발의 이론적 근거로 활용하여 우

    울을 사전에 예방하는데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핵심되는 말 : 농촌거주 노인, 우울, 예측모형, 데이터마이닝

  • - 1 -

    Ⅰ.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는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어 2002년에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이래 노인

    인구비율이 급속하게 증가하여 2010년에는 11%이며(통계청, 2010), 2018년 14.3%로

    고령사회에 진입하고,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인구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는 2026년이면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전망이다(통계청, 2010). 특히, 2005년 농림어업 총

    조사에 따르면 농촌지역의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 중 29.09%를 차지하고 있다

    (통계청, 2006). 이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비 11%에 비해 2배 이상

    으로, 이는 전체적으로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데 비하여 우리나라 농촌은 이미 상당

    한 정도의 고령사회로 접어들었음을 나타내어 농촌지역이 도시지역보다 심화된 고령

    화로 지역적 편중이 심각함을 보여준다.

    노인은 정상적인 노화과정으로 인한 변화와 함께 사회적,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신

    체기능의 저하와 만성질환, 배우자 사망, 경제력 약화, 사회나 가족으로부터의 고립

    등을 경험하게 되면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우울경향이 증가하게 되며,

    우울증은 노년기에 나타나는 가장 흔한 정신질환으로 알려져 있다(이홍자, 2008;

    Minardi & Blanchard, 2004). 주요 우울장애의 평생 유병률은 5.6%로 보고되고 있으

    나(보건복지부, 2007), 국내 노인의 경우 우울증의 유병률이 10.99%로 조사된 바 있다

    (서국희 외, 2000). 또한 일부 도시 및 농촌지역 노인의 연구에서는 우울 측정진단도

    구에 따라 13.3%에서 77.5%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김영주, 2009: 윤수진, 이윤환,

    손태용, 오현주, 한근식, 김경희, 2002).

    우울증을 경험하고 있는 노인들은 부정적 사고, 에너지의 상실, 욕구상실, 집중력

    장애, 수면장애 등으로 인하여 심각한 일상생활 활동에 장애를 겪게 되어 삶의 질이

    저하되고, 자살과도 밀접한 관련성이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를 초래하며(장미희, 김윤

    희, 2005; Meeks et al., 2008; Shin, Jung, Jo, & Kang, 2009), 그에 따르는 의료경제

  • - 2 -

    비용도 증가하게 된다(Loughlin, 2004; Shin, Jung, Jo, & Kang, 2009). 그러나 우울증

    은 정신약물의 발달로 적절한 항 우울제 등 약물치료와 다양한 정신치료를 통해 효과

    적으로 치료 될 수 있는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잘못 진단하거나 진단되지 않은 채 방

    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유인영, 임민경, 유원섭, 2002).

    그 동안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한 선행 연구에서 성별

    (전해숙, 강상경, 2009; Shin, Jung, Jo, & Kang, 2009), 연령(노병일, 모선희, 2007), 교

    육수준(김용순, 유문숙, 박진희, 2009; Shin, Jung, Jo, & Kang, 2009), 종교(전해숙, 강

    상경, 2009), 경제상태(김영주, 2009; 노병일, 모선희, 2007), 질병 및 건강상태(김귀분,

    석소현, 2009; 김승연, 고선규, 권정혜, 2007), 일상생활수행능력(김영주, 2009; 김용순,

    유문숙, 박진희, 2009; Shin, Jung, Jo, & Kang, 2009), 인지기능(김용순, 유문숙, 박진

    희, 2009), 삶의 만족도(김귀분, 석소현, 2009; 김용순, 유문숙, 박진희, 2009), 자아존중

    감(김귀분, 석소현, 2009; 전해숙, 강상경, 2009), 고독감(김귀분, 석소현, 2009), 배우자

    유무(노병일, 모선희, 2007; 전해숙, 강상경, 2009), 동거형태(노병일, 모선희, 2007), 가

    족지지(김영주, 2009; 노병일, 모선희, 2007), 사회적지지(김귀분, 석소현, 2009; 김영주,

    2009), 사회활동참여(남기민, 박현주, 2010; 이현심, 남희수, 2010; Aihara, Minai,

    Aoyama, & Shimanouchi, 2011) 등이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농촌거주 노인들은 자녀들과 멀리 떨어져 살고 있는 경우가 많아 가족지지체계가

    부족할 우려가 높고, 도시지역 노인들보다 의료접근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응급구

    조체제도 미약하여 열악한 보건의료 환경적 조건 하에서 생활하고 있다. 또한 노인복

    지여가시설도 부족하고 여성노인, 독거노인이 많아 우울과 관련된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은 실정이다. 그러나 농촌거주 노인들은 같은 지역에 거주하는 이웃들

    과 오랜 기간 더불어 살아가기 때문에 사회적 지지체계가 도시지역 노인에 비해 단단

    하며, 도시지역 노인에 비해 비교적 뚜렷한 은퇴의 시기가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농촌지역

    의 노인이 도시지역 노인보다 우울이 적게 나타났다는 보고도 있었다(St John,

    Blandford, & Strain, 2009).

  • - 3 -

    최근까지 노인의 우울과 관련된 많은 연구가 보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서

    울과 수도권 등 대도시 지역의 노인에 국한되어 있으며(Shin, Jung, Jo, & Kang,

    2009) 농촌 노인을 대상으로 한 우울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노인 연구에서 도

    출된 모형은 노인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김동배, 손의성,

    2005) Shin, Jung, Jo, & Kang (2009)의 연구에서는 포함하고 있지 않아 노인 우울을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에 영향

    을 미치는 예측인자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파악하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한데(Shin,

    Jung, Jo, & Kang, 2009), 지금까지 예측인자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로지스

    틱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 등과 같은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나무분석법을 적용하여 예측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의사결정나

    무분석기법은 각 자료 내에 존재하는 관계와 규칙을 탐색하고 찾아내어 모형화하는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의 하나로, 선형성, 정규성과 등분산성 가정 등이 필요 없는 비

    모수적 방법이다. 그리고 의사결정나무분석기법은 분류와 예측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

    으로 분석 대상을 몇 개의 소집단으로 분류하는 규칙을 나무구조로 만들어 이를 새로

    운 대상에 적용함으로써 그 특성을 예측하는 분석방법으로 이해하기 쉬운 규칙을 생

    성시켜 주며 예측이 쉬운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의사결정나무분석기법을 통해 분석하

    여 우울예측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을 분석하여 우울예측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 모형구축을 통해 농촌지역만의 특

    성화된 노인우울의 예방과 조기발견 및 개입을 위한 보건의료정책 및 간호중재 개발

    의 이론적 기틀 및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 4 -

    B.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농촌지역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분석

    하여 우울 예측모형을 구축함으로써 농촌지역의 특성화된 노인우울의 예방과 조기발

    견 및 개입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 및 보건의료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

    로는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고자 함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농촌거주 노인의 우울실태를 파악한다.

    2) 농촌거주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3) 농촌거주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관련된 예측모형을 구축한다.

    4) 구축된 예측모형을 평가한다.

  • - 5 -

    C. 용어의 정의

    1. 농촌거주 노인

    농촌거주 노인은 주된 경제활동이 농업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을 말한다(유태현, 2002).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의 1개 읍, 14면, 6동과 강원도의 1읍, 8면의 30지역에 3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의미한다.

    2. 우울

    우울은 정상적인 기분 변화로부터 병적인 상태에 있으며 근심, 침울감, 실패감, 무

    력감 및 무가치감을 나타내는 정서장애를 말한다(Battle 1978).

    본 연구에서는 조맹제 등(1999)의 한국어판 단축형 노인우울척도(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 SGDS-K)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의 정도가 심한 것으로 8점 이상은 우울상태를 나타낸다.

    3. 신체심리기능

    신체심리기능은 신체계통의 생리학적 기능과 심리적 기능을 의미한다. 신체는 인간

    의 모든 기관을 가리키므로 뇌, 그리고 뇌의 기능이 포함되어 정신적, 심리적 기능도

    포함된다(보건복지부, 2004).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의 수와 종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을 측정한 점수를 의미

    한다.

  • - 6 -

    4. 활동

    활동은 개인에 의한 일상행위 혹은 임무 수행을 의미한다(보건복지부, 2004).

    본 연구에서는 운동능력과 자기돌봄을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5. 참여

    참여는 실질적인 생활 상황에의 연루를 의미한다(보건복지부, 2004).

    본 연구에서는 농사참여와 사회활동참여 여부를 의미한다.

  • - 7 -

    Ⅱ. 문헌고찰

    노년기는 사별, 은퇴, 경제적 곤란 등과 같은 사회적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노

    화에 따른 신체변화 및 질병의 증가 등으로 인해 발병되는 우울증상은 주요 노년기

    정신건강문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노인의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

    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는데, 일반적으로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신체적 건강, 일상생활수행능력, 가족지지, 사회

    적지지, 경제적 수준, 스트레스 수준, 배우자유무, 교육수준, 성별, 동거형태, 연령, 종

    교유무 등이 있으며(김동배, 손의성, 2005), 이러한 요인들은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노인 우울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al, Disability and Health, ICF)모델(WHO,

    2001)을 토대로 개인 요인, 환경 요인과 신체 기능, 활동 및 참여 요소로 구분하여 고

    찰하고자 한다.

    1. 개인 요인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요인들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종교 유무, 경

    제적 수준 등이 주로 제시되고 있다. 성별에 따른 노인의 우울정도와 관련된 국내 연

    구를 살펴보면 서울을 포함한 7개 광역시와 제주도를 포함한 9개 도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한국 노인 4,9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한국복지패널의 1, 2, 3차 데이터를 분석

    한 전해숙, 강상경(2009)의 연구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초기에 높은 우울증상을 보이

    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느린 우울증상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노

    병일과 모선희(2007)가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재가노인 265명을 대상으

    로 조사한 연구와 안산시에 거주하는 MMSE 21점 이상인 65세 남녀노인 299명을 대

    상으로 한 Shin, Jung, Jo와 Kang (2009)의 연구에서도 남성보다 여성에서의 우울정

  • - 8 -

    도가 더 높았다. 국외연구로는 타이완의 Shih-Pai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시설 비

    거주 노인 7,159명을 대상으로 한 Wang, Su와 Chou(2010)의 연구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49배 우울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나타났고, Lue, Chen와 Wu (2010)의 타

    이완의 65세 이상 노인 1,487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남성과 비교하여 여성에서

    우울이 나타날 가능성이 1.58배 높았다. 또한 St. John, Blandford와 Strain(2009)가 캐

    나다 노동부의 매니토바주를 대상으로 건강과 노화에 관한 연구 데이터로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807명을 이차 분석한 연구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우울이 발

    생할 가능성이 2.9배로 보고되었고, 나이지리아의 요루바 주변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40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Gureje, Oladeji와 Abiona (2011)의 연구에서도 여성

    이 남성보다 우울이 발생할 가능성이 1.63배였으며, Barcelos-Ferreira, Izbicki,

    Steffens와 Bottino (2010)가 브라질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1991년부

    터 2009년 사이에 보고된 17개 연구를 메타분석한 연구에서도 여성노인이 남성 노인

    에 비해 주요우울장애와 임상적으로 주요한 우울증상이 발생할 승산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60세 이상 농촌 노인 13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강덕기(2005)의 연

    구와 충남 당진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자녀가 있으나 자녀와 동거하고 있지 않는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한 박명숙(2009)의 연구, J도의 4개 군 지역의 65세 이상 노인

    1,01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송민선, 김수근, 김남초(2010)의 연구에서는 성별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도 벨로르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의 노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Rajkumar, Thangadurai, Senthilkumar, Gayathri,

    Prince와 Jacob (2009)의 연구와 브라질 리오그란데 도 술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7,040명을 대상으로 한 Blay, Andreoli, Fillenbaum과 Gastal (2007)의 연구에서도 성

    별과 우울발생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성별에 따른 노인의 우울

    정도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된 연구도 있어 성별과 노인 우울 간에 일관성을 보

    이지는 않았다.

  • - 9 -

    연령에 있어서 송민선, 김수근, 김남초(2010)의 군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농

    촌 노인 1,014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80세 이상인 경우 다른 연령에서보다 높

    은 우울 정도를 나타냈고,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재가노인 265명을 대

    상으로 한 노병일, 모선희(2007)의 연구에서도 연령이 많아질수록 우울정도가 높아졌

    다. 일본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2,763명을 대상으로 한 Kaneko,

    Motohashi, Sasaki와 Yamaji (2007)의 연구에서는 80세 이상의 노인에게서 우울발생

    가능성이 2.79배 높았으며, 브라질 리오그란데 도 술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7,040명을 대상으로 한 Blay, Andreoli, Fillenbaum과 Gastal (2007)의 연구에서도 연

    령이 높아질수록 우울발생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보고하였다. 광주광역시의 65세 이상

    80세 미만의 노인 847명을 대상으로 한 이영훈 외(2008)의 우울증 관련 요인 연구에서

    는 남자 연령대에 따른 우울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여자에서 연령대가 증

    가할수록 우울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진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강덕기(2005)의 우리나

    라 60세 이상 농촌 노인 132명을 대상으로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와 김영

    주(2009)의 전라북도 8개 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농촌 노인 228명을 대상으로 한 연

    구에서는 연령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인도 벨로르 지역

    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Rajkumar, Thangadurai,

    Senthilkumar, Gayathri, Prince와 Jacob (2009)의 연구와 브라질 상파울로의 지역사회

    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1,563명을 대상으로 한 Barcelos-Ferreira, Pinto,

    Nakano, Steffens, Litvoc와 Bottino (2009)의 연구에서도 연령은 우울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양순미, 임춘식, 오윤자(2007)는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58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에서는 연령이 고독감을 매개로 하여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여 연령과 노인우울 간의 관계는 일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교육수준에 있어서는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재가노인 265명을 대상으

    로 우울예측요인에 관한 노병일, 모선희(2007)의 연구와 안산시에 거주하는 MMSE

    21점 이상인 65세 이상 노인 299명을 대상으로 우울예측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Shin,

    Jung, Jo와 Kang (2009)의 연구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정도가 낮게 나타났

  • - 10 -

    다. 중국의 65세 이상 노인 1,737명을 대상으로 한 Gao 등 (2009)의 연구와 중국 베이

    징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1,601명을 대상으로 한 Ma 등(2008)의 연구에서는 교

    육수준이 낮을수록 우울발생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해숙, 강상경

    (2009)의 우리나라 60세 이상 노인 4,919명을 대상으로 한 우울궤적의 예측요인과 관

    련한 연구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은 노인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대적으로 우울증상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 브라질 리오그란데 도 술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7,040명을 대상으로 한 Blay, Andreoli, Fillenbaum과 Gastal (2007)의 연구

    에서는 교육과 우울이 관련이 없는 결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경제상태에 있어서 국내연구로는 수도권 지역 65세 이상 남녀 재가 저소득계층 노

    인 306명을 대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한 김용순, 유문숙, 박진희

    (2009)는 못 사는 편인 노인이 보통보다 우울점수가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대전광역시

    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이 재가노인 265명을 대상으로 한 노병일, 모선희(2007)의 연구

    와 안산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99명을 대상으로 우울예측모형구축과 관련한

    Shin, Jung, Jo와 Kang (2009)의 연구에서도 소득이 낮을수록 우울정도가 높다고 나

    타났다. 전라북도 8개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농촌노인 228명을 대상으로 한 김영주

    (2009)의 연구에서는 주관적 경제상태가 낮을수록 우울점수가 높았다. 국외의 연구로

    는 Rajkumar, Thangadurai, Senthilkumar, Gayathri, Prince와 Jacob (2009)가 인도

    벨로르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와 중국

    베이징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1,601명을 대상으로 한 Ma 등 (2008)의 연구에서

    수입이 적을수록 우울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하였다. 중국 후난지방의 양쯔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415명을 대상으로 한 Xie, Zhang, Peng과 Jiao (2010)의 연

    구와 St John, Blandford와 Strain (2009)의 캐나다 노동부의 매니토바주의 농촌지역

    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807명을 대상으로 우울을 예측하는 요인연구, 브라질

    리오그란데 도 술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7,040명을 대상으로 한 Blay, Andreoli,

    Fillenbaum과 Gastal (2007)의 연구에서는 주관적 경제상태가 낮을수록 우울발생가능

    성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 - 11 -

    2. 환경 요인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들로는 배우자 유무, 동거형태, 가족 지지와

    사회적 지지 등이 주로 제시된다.

    가족적 요소와 관련된 문헌들부터 살펴보면 노병일과 모선희(2007)의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재가노인 265명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지지의 수준과 차원이 노

    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는 배우자와 사별한 노인이고 혼자 살수록 우

    울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중국 후난지방의 양쯔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415

    명을 대상으로 한 Xie, Zhang, Peng과 Jian (2010)의 연구에서는 미혼, 별거, 이혼, 사

    별과 같이 배우자가 없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우울정도가 높았고 자녀와 함

    께 살지 않는 노인에게 우울의 정도가 더욱 심각했다, 전해숙과 강상경(2009)은 전국

    60세 이상 노인 4,919명을 대상으로 한 한국복지패널의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에서 기

    혼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우울증상의 발생이 적었다고 보고하였다.

    파키스탄의 병원을 방문한 65세 이상 노인 400명을 대상으로 한 Taqui, Itrat,

    Qidwai와 Qadri (2007)은 미혼인 노인과 이혼, 사별, 별거한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

    에 비해 각각 4.1배와 2.0배 우울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핵가족 시스템에 있는

    노인의 경우 확대가족 내에 있는 노인에 비해 우울 발생 가능성이 4.3배 높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나 브라질 상파울로의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1,563명을

    대상으로 한 Barcelos-Ferreira, Pinto, Nakano, Stefens, Litvoc과 Bottino (2009)의 연

    구에서는 결혼상태와 임상적인 우울의 발생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하였

    다. Gao 등(2009)이 중국 65세 이상의 노인 1,737명을 대상으로 우울에 관한 연구에서

    혼자 사는 경우 우울의 발생 확률이 높게 보고되었다.

    김영주(2009)는 전라북도 8개 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농촌노인 228명을 대상으

    로 한 연구에서 가족의 지지가 낮을수록 우울점수가 높으며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로

    주관적 경제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킨다고 보고하였다. 전해숙과 강상경

    (2009)은 긍정적 가족관계를 나타낸 노인이 초기에 상대적으로 낮은 우울수준을 보였

    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는 상대적으로 완만한 우울증상의 감소속도를 나타내어 가족

  • - 12 -

    관계를 우울의 궤적요인으로 규명하였다.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재가노

    인 265명을 대상으로 한 노병일과 모선희(2007)의 연구에서는 가족이 자신을 보호해

    준다는 심리적 인지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일본의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2,763명을 대상으로 우울에 관해 연구한 Kaneko,

    Motohashi, Sasaki와 Yamaji (2007)는 가정불화수준이 높은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

    에 비해 우울이 발생할 가능성이 2.78배 높으며, 가족과의 친밀한 관계가 낮은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2.46배 우울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게 보고하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환경 요인으로 언급되는데, 김

    영주(2009)는 전라북도 8개 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농촌 노인을 대상으로 한 농

    촌노인의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낮을

    수록, 정서적 지지가 낮을수록 우울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주관적 경제

    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고 정서적 지지는 일상생활활동능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는 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보고하였다.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581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김귀분과 석

    소현(2009)의 연구에서는 비공식적 지지가 적을수록 우울점수가 높았고,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재가노인 265명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지지의 수준과 차원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노병일과 모선희(2007)의 연구에서는 친구와 실제로

    연락하는 빈도가 많을수록 우울정도가 낮았으나 지역사회 지지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

    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승연, 고선규와 권정혜(2007)의 서울에 거주하는 배우

    자와 사별한 지 7년 이내인 60세 이상의 노인 104명을 대상으로 한 노인 집단에서의

    배우자의 사별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대처효과를 측정한 연구에

    서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우울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Xie, Zhang, Peng과 Jiao

    (2010)의 중국 후난지방의 양쯔지역 농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415명을 대상

    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 활용의 정도가 낮을수

    록 우울점수가 높았으며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 많은 생활사건과 우울 간에 매개변

    수로 작용하여 우울의 수준으로 낮추어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브라질의 리오그란데

    도 술 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7.040명을 대상으로 개발도상국의 우울의

  • - 13 -

    유병률과 위험요인에 관한 Blay, Andreoli, Fillenbaum과 Gastal (2007)의 연구에서도

    사회적 지지수준이 낮을수록 우울발생이 높게 나타났다.

    Gureje, Oladeji와 Abiona (2011)은 나이지리아의 이바단의 요루바족 65세 이상 노

    인 1,408명을 대상으로 한 우울 발병률과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에서 여성의 경우 사

    회적 네트워크가 약한 노인에게서 우울발생이 높았고, 일본 오다와라 지역에 거주하

    는 65세 이상 노인 887명을 대상으로 과거 생활습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Aihara, Minai, Aoyama와 Shimanouchi (2010)는 여성에서 이웃과 좋은 관계를 맺는

    노인이 우울 발생 가능성이 4.87배 낮았으며 취미활동을 하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

    인에 비해 우울의 발생 가능성이 여성은 4.32배, 남성은 2.60배 낮았다. Chan과 Zeng

    (2011)는 마카오지역의 60세 이상의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에서 사

    회적 네트워크가 빈약한 군이 우울발생이 높았고, Rajkumar, Thangadurai,

    Senthilkumar, Gayathri, Prince와 Jacob (2009)가 인도 벨로르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1,000명을 대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연구에서

    는 많은 친구를 갖는 것이 우울발병의 주요한 보호요인임을 보고하였다.

    따라서 배우자가 있는 노인보다는 배우자가 없거나 사별한 노인의 우울 정도가 높

    게 나타났으며, 동거형태에 있어서 부부 혹은 자녀와의 동거 노인보다는 독거노인이

    우울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가족지지 수준이 낮은 노인이 우울 정도가 높은

    것으로 일관성 있게 보고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가 낮은 경우

    우울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우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사회적 지지 중

    에서도 공식적인 관계망의 크기는 우울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는 반

    면, 비공식적 관계망의 크기가 클수록 우울 정도는 낮았다.

    3. 신체심리기능

    신체적 건강은 개인의 일상생활을 영위하며, 삶의 목표를 추구하고 달성하는데 필

    수적인 조건이다. 특히, 노인의 신체적 건강상태는 자립적이고 활기찬 노후생활을 유

  • - 14 -

    지하는데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권중돈, 2005). 선행연구에서는 신체의 기능과 구조

    와 관련된 우울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으로 만성질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삶의 만

    족도 등이 제시되고 있다.

    먼저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만성질환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전국 60세 이상 노인 15,146명을 대상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조사한 2008년 노인

    실태조사(2009)에서 65세 이상 노인의 84.9%가 의사진단을 받은 질병 1개 이상을 가

    지고 있으며, 평균 2.1개의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 중 유병기간이

    3개월 이상이 된 의사가 진단한 만성질환을 1개 이상 가지고 있는 노인은 81.3%에 달

    했다. 유병율이 가장 높은 만성질환은 고혈압(44.4%)였으며, 골관절염/류마티스관절염

    (27.4%), 요통/좌골신경통(17.0%), 당뇨병(15.6%), 골다공증(12.4%)순이었다. 이러한 노

    인의 신체적 건강상태는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의사가 진단한 만성질환

    이 3개 이상인 노인이 만성질환이 없는 노인에 비해 약 2배 가량 우울점수가 높게 나

    타났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이영훈 등(2008)은 광주광역시 동구에 거주하는 65

    세 이상 노인 847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증 유병율 및 관련 요인연구에

    서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고혈압, 당뇨병에 해당하는 혈관성 질환이 있는 노인이 그

    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우울이 나타날 가능성이 2.73배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재가 저소득계층 노인 306명을 대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한 김용순, 유문숙와 박진희(2009)는 질병이 있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우울점수가 높았으며, 관절염, 알코올중독, 요실금, 고혈압 순으

    로 우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중국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55세 이상 노인 2,611명을 대상으로 만성질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Niti, Ng, Kua, Ho와 Tan (2007)의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이 있

    는 노인이 그렇지 않는 노인보다 우울이 많이 발생하였는데, 천식이나 COPD가 있는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우울이 발생할 가능성이 2.85배, 위장관 질환 2.64배,

    관절염 1.87배, 심부전은 2.11배로 나타났다. Haseen과 Prasartkul (2011)의 태국의 농

    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1,001명을 대상으로 한 우울예측요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

    이 4개 이상인 노인이 만성질환이 없거나 1개인 노인보다 우울이 발생할 가능성이

  • - 15 -

    2.08배로 나타났다. Rajkumar, Thangadurai, Senthilkumar, Gayathri, Prince와 Jacob

    (2009)가 인도 벨로르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1,000명을 대상으로 우

    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연구에서는 심장질환이 있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4.75배, 일과성 허혈발작 2.43배, 두부손상 2.70배, 당뇨 2.33배로 나타났

    다. Barcelos-Ferreira, Izbicki, Steffens과 Bottino (2010)는 브라질의 지역사회에 거주

    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1991년부터 2009년 사이의 17개 연구를 메타분석하였는데

    심혈관질환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조사한 2006년 고령화연구패널 1차 자료 중 65세 이상 노인

    4,155명을 연구대상으로 관절염 노인의 연령별 우울정도와 위험요인에 관한 안지연,

    탁영란(2009)의 연구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고령자 노인의 우울증 발생에 가장 강

    력한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관절염 이외 다른 만성질환을 3개 이상 가진 노인

    이 만성질환을 1개 가진 노인에 비해 우울증에 걸릴 위험은 1.605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M시 소재의 노인대학을 방문한 재가 노인 중 편의추출한 141명을 대

    상으로 우울 영향 요인에 관한 문명자(2010)의 연구에서도 주관적 신체증상이 우울에

    직접적으로 가장 큰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송민선, 김수근, 김남초

    (2010)의 J도의 4개 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014명을 대상으로 농촌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의 수가 많아질수록 우울 정도가 높았으며

    지각된 건강상태가 높아질수록 우울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한국의 대도시와 중소도

    시 지역 노인복지센터와 보건소를 이용하는 노인 295명을 대상으로 우울의 유병률과

    예측요인을 조사한 Kim, Choe와 Chae (2009)의 연구와 일본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0

    세 이상 노인 2,763명을 대상으로 우울을 예측하는 요인을 조사한 Kaneko,

    Motohashi, Sasaki와 Yamaji (2007)의 연구에서는 스스로 지각한 주관적인 건강상태

    가 우울을 예측하는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보고되었다.

    Chang-Quan, Xue-Mei, Bi-Rong, Zhen-Chan, Ji-Rong과 Qing-Xiu (2010)은 5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의 위험요인으로 건강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메타

    분석한 연구에서 만성질병이 있거나 스스로 지각한 건강상태 수준이 낮은 노인이 그

    렇지 않는 노인에 비해 우울이 발생할 가능성이 각각 1.53배, 2.40배 높았다고 보고

  • - 16 -

    하였다. 중국 마카오지역의 60세 이상의 노인 839명을 대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을 조사한 Chan과 Zeng (2011)은 심장발작, 불면, 심계항진이 있는 노인의 우

    울발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스스로 지각한 건강상태가 낮을수록 우울발생이 높게 나타

    났다.

    인지기능과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재가 저소

    득계층 노인 306명을 대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한 김용순, 유문숙

    와 박진희(2009)의 연구에서는 우울이 인지기능과 유의한 음의 관계에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원종순과 김계하(2008)의 경기도 S시 지역 보건소 방문보건센터에 등록되

    어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 221명을 대상으로 인지기능과 우울에 대한 연구를 하였는

    데 우울은 인지기능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arcelos-Ferreira, Izbicki, Steffens과 Bottino (2010)는 브라질의 지역사회에 거주하

    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1991년부터 2009년 사이의 17개 연구를 메타분석하였는데 인

    지기능의 결함정도가 심할수록 우울수준이 높아진다고 보고하였다. 중국의 65세 이상

    노인 1,737명을 대상으로 한 Gao 등 (2009)의 연구에서도 인지기능수준이 낮아질수록

    우울발생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Rajkumar, Thangadurai, Senthilkumar,

    Gayathri, Prince와 Jacob (2009)가 인도 벨로르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

    인 1,000명을 대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연구에서는 인지기능은

    우울의 발생 가능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김동배, 손의성(2005)은 한국노인의 우울 관련변인을 메타분석한 연구에서 심리적

    요인이 노인의 우울에 가장 큰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보고하였는데, 우울과 관련하여

    가장 빈번하게 제시되고 있는 요인은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였다.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581명을 대상으로 한 김귀분, 석소현

    (2009)의 연구와 S시와 J시에 거주하는 경로당과 복지관, 노인대학을 이용하는 거동에

    불편이 없는 65세 이상 노인 233명을 대상으로 한 장미희, 원정숙(2009)의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우울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해숙, 강상경(2009)은 서

    울을 포함한 7개 광역시와 제주도 포함 9개도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4,919명을

    대상으로 한 한국복지패널의 데이터로 우울의 궤적을 조사한 연구에서 자아존중감이

  • - 17 -

    높은 노인은 출발점에서 낮은 우울증상이 나타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대적으로

    우울증상의 감소속도가 완만하였음을 보고하였다. 너싱홈에 입원하고 있는 노인 29명

    을 대상으로 한 Maloney (2009)의 연구에서도 자아존중감이 주요한 우울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김용순, 유문석과 박진희(2009)는 수도권 지역 65세 이상 재가 저소득계층 노인 306

    명을 대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에서 생활만족도를 가장 우울

    의 가장 강력한 설명변수로 보고하였으며 생활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점수가 낮게 나

    타났다. 김귀분과 석소현(2009)의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581명을

    대상으로 노인의 우울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에서도 삶의 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점수

    가 높았으며, 타이완 65세 이상 노인 1,487명을 대상으로 한 Lue, Chen과 Wu (2010)

    의 연구에서는 삶의 만족도가 낮은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우울이 발생할 가능

    성이 1.917배 높게 보고되었다.

    따라서 만성질환이 있는 노인이 만성질환이 없는 노인보다 우울 정도가 높았으며,

    특히 혈관성 질환, 근골격계 질환, 호흡기계 질환이 있는 경우가 우울증 유병율이 높

    게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도 우울을 예측하는 주요한 요인으로서 주관적으로 자

    신의 건강상태를 낮게 인식한 노인이 우울 발생률이 높게 보고되었고, 인지기능이 감

    소한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우울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기능으로서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가 낮은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우울 정도가 높은 것

    으로 일관성 있게 보고되었다.

    4. 활동 및 참여

    활동 및 참여와 관련하여 선행연구에서 주로 제시되는 우울 요인은 일상생활수행능

    력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사회활동참여, 직업의 유무 등이었다.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조사한 2006년 고령화연구패널 1차 자료 중 65세 이상 노인

    4,155명을 연구대상으로 관절염 노인의 연령별 우울정도와 위험요인에 관한 안지연,

    탁영란(2009)의 연구에서는 일상생활활동에 제한이 있는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에

  • - 18 -

    비해 우울증을 가질 위험이 2.316배로 보고되었다. 배진희(2009)는 전라북도 14개 시

    군에 거주하고 있는 75세 이상 고령노인 603명을 대상으로 일상생활기능 저하가 우울

    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는데 일상생활기능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대

    와 사회활동참여를 매개로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라북도 8개 군

    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농촌 노인 228명을 대상으로 한 김영주(2009)의 연구에서는

    일상생활활동능력이 낮을수록 우울정도가 심했다.

    캐나다 노동부에서 매니토바주의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807명을 대

    상으로 우울을 예측하는 요인을 조사한 St John, Blandford와 Strain (2009)의 연구에

    서는 ADL과 IADL 점수가 낮을수록 우울발생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고 태국의 농

    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1.001명을 대상으로 한 Haseen과 Prasartkul (2011)의 연구에

    서는 중등도의 기능적 장애가 있는 노인이 장애가 없는 군보다 우울발생이 3.12배 높

    게 나타났다. 타이완의 65세 이상 노인 1,48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Lue, Chen과 Wu

    (2010)의 연구, 한국의 대도시와 중소도시 지역의 노인복지센터와 보건소를 이용하는

    노인 295명을 대상으로 한 Kim, Choe와 Chae (2009)의 연구, 브라질 상파울로의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1,563명을 대상으로 한 Barcelos-Ferreira, Pinto,

    Nakano, Steffens, Litvoc과 Bottino (2009)의 연구에서 모두 ADL 수준이 낮을수록

    우울발생확률이 높다고 일관성 있게 보고되었다.

    한국의 대도시와 중소도시지역의 노인복지센터와 보건소를 이용하는 노인 295명을

    대상으로 우울 유병률과 위험요인을 연구한 Kim, Choe와 Chae (2009)는 사회활동 참

    여횟수가 높을수록 우울발생 가능성이 낮았다고 보고하였으며, 파키스탄의 한 병원을

    방문한 65세 이상 노인 400명을 대상으로 가족시스템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Taqui, Itrat, Qidwai와 Qadri (2007)의 연구에서는 일하지 않거나 은퇴한 노인이 일하

    고 있는 노인보다 우울발생 가능성이 2.2배 높았다.

    따라서 일상생활수행능력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수준이 낮은 노인이 우울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고, 사회활동에 참여하지 않거나 일하지 않는 노인에게서 우울

    의 정도가 높았다.

  • - 19 -

    Ⅲ. 연구의 개념적 기틀

    A. 개념적 기틀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은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가 제정한 국제 기능장

    애 건강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al, Disability and Health, ICF)

    모델을 근거로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개념들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

    을 도출하였다.

    1) WHO (2001)의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 모델

    WHO (2001)는 건강의 구성요소에 대한 분류를 통해 건강을 이루고 있는 것들이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지표를 마련하기 위해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 모델을 마련하

    였다.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 모델은 의학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을 통합하여 ‘장애’라는

    개념이기보다는 ‘건강’이라는 개념으로 장애의 문제를 바라보는 종합적인 시각을 제시

    한다(신은경, 2004).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 모델은 인간의 기능, 그리고 기능 제한과

    관련된 상황 설명을 제공하고 이러한 정보를 조직화하는 ‘틀’ 역할을 한다. 이 모델에

    는 ‘건강 영역’과 ‘건강관련 영역’이 포함되어 있으며, ‘신체 기능 및 구조’와 ‘활동 및

    참여’라는 기본 목록에 의해 신체 및 개인과 사회라는 관점에서 정보를 조직화한다.

    국제 기능․장애․건강분류 모델의 구조를 살펴보면 크게 기능과 장애 측면과 배경요

    인 측면의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각 측면은 각각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

    다. 기능과 장애의 구성요소는 ‘신체 기능과 구조’와 ‘활동과 참여’로 나누어지고, 배경

    요인은 환경 요인과 개인 요인으로 구성된다(신은경, 2004 재인용). 즉, 이 모델은 사

    람을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 영역 혹은 건강 관련 영역 속에서 한 개인이 처해

    있는 상황을 환경적․개인적 측면에서 설명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4).

  • - 20 -

    신체 기능은 신체계통의 생리적 기능(심리적 기능 포함)이고, 신체 구조는 장기, 사

    지 및 구성요소와 같은 신체의 해부학인 부분이다. 손상은 신체 일부의 심각한 변형

    혹은 손실과 같은 신체 기능 혹은 구조상의 이상을 의미한다. 신체 기능과 신체 구조

    는 두 개의 상이한 부분으로 분류되는데 이것은 이 두 개 분류를 상호관련지어 이용

    하기 위함이다(보건복지부, 2004).

    활동은 개인에 의한 일상행위 혹은 임무 수행을 뜻하고 참여는 실질적인 생활 상황

    에의 연루를 의미한다. 활동제한은 활동과정에서 한 개인이 가질 수 있는 어려움을,

    참여제약은 실질적인 생활 상황에 연루되었을 때 한 개인이 겪을 수 있는 문제점을

    의미한다. 활동과 참여 구성요소의 영역은 생활영역 전체를 포괄하는 하나의 목록으

    로 표현될 수 있다. 활동과 참여의 구성요소는 수행과 능력이라는 두 가지 평가치에

    의해 규정된다(보건복지부, 2004).

    배경 요인은 개인생활의 총체적 배경을 대변한다. 배경 요인은 개인의 건강 여건과

    건강 또는 건강관련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두 가지 구성요소 즉, 환경 요인과

    개인 요인으로 이루어진다. 환경 요인은 사람들이 삶을 영위하고 있는 물리적 · 사회

    적 · 심리적 환경을 구성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개인에게는 외적인 요소로서 한 개인

    이 사회의 일원으로서 ‘수행’에 있어서나 일상행동이나 임무를 이행하는 개인의 ‘능력’,

    혹은 개인의 신체 기능이나 구조에 긍정적인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환

    경 요인은 다시 개인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의 두 가지 관점으로 분류된다(보건복지부,

    2004). 개인요인은 아직 국제 기능장애건강분류 모델에 분류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총체적 의미로 인간을 바라보면서도 그 개인이 가지는 개별성과 그 가치의 고유함과

    존엄성을 고려하는 것으로 생물학적, 개인적, 사회적인 종합적 시각으로 대상자를 바

    라보도록 도울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신은경, 2004). 개인 요인은 한 개인의 생

    활 그리고 생활방식의 독특한 배경으로서 건강 조건이나 건강상태의 일부가 아닌, 개

    인의 특징을 구성한다. 개인 요인에는 성별, 인종, 연령, 기타 건강상의 과거와 현재의

    경험, 전체적인 행동 유형 및 성격유형, 개인의 심리적 특성 등이 포함된다.

  • - 21 -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 모델은 특정 영역에서 개인의 기능은 건강 상태와 배경 요

    인간의 복잡한 상호작용 혹은 관계의 결과이다. 이러한 요소들 사이에는 복합적인 상

    호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각기 특수한 것이어서 반드시 예측 가능한

    일 대 일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때로는 양방향으로 상호작용이 진행되

    기도 하여 ‘장애’의 존재, 혹은 건강조건 자체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보건복지부,

    2004). 이상에서 살펴 본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 모델을 도식화하면 과 같

    다(WHO, 2002).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 모델의 개념도

  • - 22 -

    2) 우울증에 관한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의 핵심지표

    Cieza 등(2004)은 우울증에 관한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의 핵심지표를 결정하기

    위한 연구 결과 포괄적인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에 의한 핵심지표와 축약형 국제 기

    능장애 건강분류에 의한 핵심지표를 도출해냈다. 본 연구에서는 Cieza 등(2004)이 도

    출해 낸 31개의 축약형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에 의한 핵심지표를 개념적 기틀의 근

    거로 삼고자 한다. 축약형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에 의한 핵심지표의 항목은 과 같다.

  • - 23 -

    우울증에 관한 축약형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에 의한 핵심지표

    구성요소 순위 항목 제목

    신체기능

    1 정신적 안정성

    2 에너지 수준

    3 동기

    4 감정의 범위

    5 낙천성

    6 집중력

    7 정서의 적절성

    8 식욕

    9 정신운동 기능

    활동 및 참여

    1 일상생활관리

    2 의사결정

    3 문제해결

    4 친밀한 관계

    5 스트레스 관리 및 여타 심리적 요구에의 대응

    6 가족 관계

    7 대화

    8 자신의 건강 돌보기

    8.5 사고

    9 씻기

    10 자신의 활동 수준 관리하기

    10 구직, 근속, 퇴직

    환경 요인

    1 직계가족

    2 친구

    3 건강 전문가

    4 약물

    5 직계가족구성원의 개인적인 태도

    6 지인, 동년배, 동료, 이웃, 공동체 구성원

    7 친구의 개인적인 태도

    8 건강 서비스, 시스템 및 정책

    9 건강 전문가의 개인적인 태도

    10 확대 가족 구성원들의 개인적인 태도

  • - 24 -

    위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도식화된 우울에 관한 국제 기능․장애․건강분류 모델은

    와 같다.

    우울에 관한 축약형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 모델

  • - 25 -

    3)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

    본 연구에서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우울을 예측하기 위한 모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노인의 우울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개념들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과 같이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에서 농촌지역 거주 노인의 우울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은

    크게 신체기능, 활동 및 참여, 환경 요인, 개인 요인으로 나누어진다. 신체기능 요인은

    만성 질환의 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으로, 활동 및 참여 요인은 운동능력, 자기돌봄,

    농사참여, 사회활동참여로, 환경 요인은 배우자 유무, 친구 이웃 간 지원교환으로, 개

    인 요인에는 성별, 나이, 교육정도, 경제상태가 포함된다. 이러한 신체기능, 활동 및

    참여, 환경, 개인 요인들은 상호연관성이 있는 유기적 관계로 직 · 간접적인 효과와

    상호작용을 통해 궁극적으로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우울증상 발병에 영향을 미

    치게 된다.

    개인요인은 아직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 모델에 분류되어 있지 않으나 개인 가치

    의 존엄성을 강조하도록 고무시키는 계기가 되므로(신은경, 2004) 개인 요인들이 어떻

    게 영향을 미치는지 보이기 위해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에 포함시켰다.

    따라서 농촌지역 거주 노인의 우울증상에 미치는 예측요인을 규명하고 영향력의 정

    도를 파악하여 우울을 예측하는 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 및 변

    인 간의 관계를 도식화하면 와 같다.

  • - 26 -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

  • - 27 -

    Ⅳ. 연구방법

    A. 연구 설계

    본 연구는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예

    측하는 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B. 연구 대상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을 표적 모집단으로 하고, 경상북도의 1개 읍,

    14면, 6동과 강원도의 1읍, 8면의 30개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근접 모집

    단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하게 될 대상자의 구체적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농촌지역에 거주한 지 3년 이상인자

    (2) 연구자와 연구보조원과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3) 치매 등 인지기능장애로 진단받지 않은 자

    (4)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

    본 연구의 대상자 크기(수)는 500명으로, Cohen의 표본추출 공식에 따른 sample

    size 계산 프로그램인 G*Power 3.1 프로그램(Faul, Erdfelder, Buchner, & Lang,

    2009)을 이용해 5% 유의수준과 90% 검정력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 이용 시 Odds

    ratio를 1.5로 하여 표본크기를 산출했을 때 409명으로 계산되었다. 여기에 대상자가

    노인이고 수집 자료의 문항수가 많으므로 자료 분석에서 제외될 가능성을 고려한 약

    90명 정도를 추가하여 최종 결정된 표본 수는 500명이 되었고, 수거된 총 500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39부를 제외한 총 461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다.

  • - 28 -

    변 인 내 용 문항 수

    개인 요인

    성별 1

    만 나이 1

    교육수준 1

    평균 월 소득 1

    환경요인결혼상태 1

    친구나 이웃 간의 지원교환 8

    신체심리기능

    만성질환 33

    인지기능 19

    자아존중감 10

    활동운동능력 5

    자기돌봄 5

    참여농사 참여 2

    사회활동 참여 2

    우울 15

    전체 104

    C. 측정도구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로, 설문지의 내용은 노인의 우울(15문항)

    측정도구와 그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개인 요인 4개 영역의 4문항, 환경 요인

    2개 영역의 9문항, 신체심리적기능 3개 영역의 62문항, 활동 2개 영역의 10문항, 참여

    2개 영역의 4문항으로 총 104개의 측정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와 같다.

    설문지의 내용 구성

  • - 29 -

    1. 우울

    Sheikh와 Yesavage(1986)이 개발한 15문항의 단축형 노인우울척도(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 SFGDS)를 조맹제 등(1999)이 우리나라 노인에게 맞도록

    표준화한 한국어판 단축형 노인우울척도(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 SGDS-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15문항의 ‘예(0)/아니오(1)’로

    응답하는 양분척도로 총 점수범위는 0점에서 15점이다. 부정적인 문항(2번, 3번, 4번,

    6번, 8번, 9번, 10번, 12번, 14번, 15번)은 역환산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의 정도가

    심한 것을 의미하며, 8점 이상을 우울군으로 분류한다.

    본 도구의 내적 신뢰도(Cronbach's α)는 조맹제 등(1999)의 연구에서 .89, 권영은,

    하진, 안수연(2007)의 연구에서 .86, 이혜영(2008)의 연구에서 .80이었으며, 본 연구에

    서는 Cronbach's α=.92이었다.

  • - 30 -

    2. 신체심리기능

    1) 만성질환

    만성 질환은 최소 3개월 이상 지속되는 병적 상태로 정상에서 벗어난 장애이며 돌

    이킬 수 없는 병리적 변화에 의한 영구적인 기능 장애를 초래하여 재활과정, 즉, 훈

    련, 장기간의 관리, 관찰과 간호가 요구되는 상태를 말한다(Lubkin, 1990). 본 연구에

    서는 한국표준질병 · 사인분류(통계청, 2010)의 분류구조를 바탕으로 순환기계, 내분

    비계, 근골격계, 호흡기계, 감각기계, 소화기계, 비뇨생식기계, 악성 신생물 등의 구조

    로 나누어 노인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만성 질환 33가지를 제시하고 유병기간과 의사

    진단 여부를 물어 만성질환의 수와 종류를 측정하였다. 제시되지 않은 만성 질환을

    진단받은 경우 기타의 란에 기입하였다.

    2) 인지기능

    인지기능은 정보의 취득, 처리, 저장, 그리고 복구하는 능력으로 기억, 추상, 학습,

    지적 기능, 판단, 주의, 이해, 추론, 계산, 개념 이해 능력을 포함한다(Lipowski, 1980).

    본 연구에서는 Folstein 등 (1975)이 개발한 간이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를 권용철과 박종한(1989)의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검사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 MMSE-K)를 참고하여 이동영

    등(2002)이 개발한 한국판 CERAD 평가집(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Packet: CERAD-K)에

    포함되어 있는 한국어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in

    the Korean Version of the CERAD Assessment Packet: MMSE-K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시간에 대한 지남력(5점), 장소에 대한 지남력(5점), 기억등록

    (3점), 기억회상(3점), 주의 집중 및 계산(5점), 언어 기능(7점), 이해 및 판단(2점) 영

    역으로 구성된 총 19문항으로 최고점은 30점이며, 에서 제시한 성별, 연령과

  • - 31 -

    학력 0-3년 4-6년 7년 이상

    연령 남자 여자 남자 여자 남자 여자

    60-69세 20.9 18.5 24.0 22.5 25.6 25.3

    70-74세 19.7 16.7 23.3 22.0 25.5 24.9

    75-79세 19.7 15.1 22.3 21.6 25.4 23.9

    80세 이상 17.3 13.5 21.2 20.4 24.8 22.9

    학력을 고려한 인지기능 기준에 따라 정상과 1.5 표준편차 수치 미만의 경우 치매가

    의심되는 인지기능저하로 해석한다. 인지기능의 평균 점수는 기준표에 따라 환산하

    지 않은 점수이다. 성별과 연령, 학력을 고려한 인지기능점수 기준은 다음

    과 같다.

    이동영 등(2002)이 개발한 인지기능(MMSE-KC)점수 기준표

  • - 32 -

    3)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은 자아개념의 평가적 요소로서 자신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가치 있는

    인간으로 인지하는 것이다(Rosengerg, 1965). 본 연구에서는 Rosenberg(1965)가 개발

    하고, 전병제(1974)가 번안한 총 10문항, 4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긍정적인

    문항 5개(1번, 2번, 4번, 6번, 7번)와 부정적인 문항 5개(3번, 5번, 8번, 9번, 10번)로 구

    성되어 있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매우 그렇다’ 4점으로 점수화하여 측정하며

    부정문항은 역환산한다. 점수범위는 10점에서 40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

    중감이 높은 것으로 해석하였다.

    도구 개발 당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85이었고, 황미구와 김은주(2008)의 연구

    에서 Cronbach's α=.98, 이종화(2005)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86이었으며, 본 연

    구에서는 Cronbach's α=.75였다.

  • - 33 -

    변인 구분 문항수 문항번호 Cronbach's α

    운동

    능력

    하지 3 1, 2, 3 .86

    상지 2 4, 5 .81

    전체 5 .89

    3. 활동 및 참여

    1) 운동능력

    운동능력은 이윤환 등(2002)이 지역사회 노인의 신체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Nagi(1991)의 병리-손상-기능제한-장애 이론에 근거하여 개발한 신체기능 척도 중 운

    동능력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운동능력은 신체의 하지와 상지 운동능력을 측

    정하는 항목으로 ‘전혀 어렵지 않다’ 3점, ‘약간 어렵다’ 2점, ‘매우 어렵다’ 1점, ‘전혀

    할 수 없다’ 0점의 3점 척도로 측정하는 총 5문항이다. 점수 계산방법은 각 문항의 점

    수를 더한 총점을 문항수로 나눈 후 다시 응답최고점수인 3으로 나눈다. 이렇게 계산

    된 점수에 100을 곱함으로써 총점이 100점 만점이 되도록 한다. 즉, 총점이 100점에

    근접할수록 기능상태가 양호한 것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 당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89이었고, 본 연구에서 전체 및 하부요

    인별 내적 신뢰도(Cronbach's α)는 와 같다.

    운동능력의 문항 항목 및 신뢰도

  • - 34 -

    2) 자기돌봄

    자기돌봄은 이윤환 등(2002)이 지역사회 노인의 신체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Nagi(1991)의 병리-손상-기능제한-장애 이론에 근거하여 개발한 신체기능 척도 중

    자기돌봄능력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기돌봄은 일상생활수행(ADL과 IADL)

    과 관련된 기능을 평가하는 항목으로 구성되어있다. 총 5항목으로 ‘전혀 어렵지 않

    다’ 3점, ‘약간 어렵다’ 2점, ‘매우 어렵다’ 1점, ‘전혀 할 수 없다’ 0점의 3점 척도로

    측정한다. 점수 계산방법은 각 문항의 점수를 더한 총점을 문항수로 나눈 후 다시

    응답최고점수인 3으로 나눈다. 이렇게 계산된 점수에 100을 곱함으로써 총점이 100

    점 �